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수도계량기 보는 법 | 소수점 읽는 법부터 계산 예시까지 총정리

by 호용누수탐지 2025. 5. 16.
반응형

이 글을 읽으면 다음 정보를 얻어갈 수 있습니다.

  • 수도계량기 위치 찾는 방법
  • 수도계량기 보는방법
  • 누수 확인법
  • 수도 사용량 계산법
  • 수도요금 절약 팁
  • 겨울철 동파 예방 방법


목차


수도계량기 위치 어디에 있을까?

수도계량기 보는방법을 제대로 알기 위해선, 먼저 위치부터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 아파트: 현관 옆 박스형, 소화전 밑, 양수기함 내부
  • 빌라: 1층 바닥, 계단 옆, 지하실, 옥상 공용공간
  • 주택: 대문 옆, 마당, 출입문 근처, 담장 아래 매립형

※ 위치를 모르겠다면 **관리사무소 또는 수도사업소(120)**로 문의하세요.
겨울철 동파 예방을 위해 미리 위치 파악은 필수입니다.


수도계량기 보는방법 제대로 알기

수도계량기 보는방법에서 가장 먼저 확인할 것은 숫자 박스입니다.

  • 검은색 박스는 지금까지 사용한 총 물 사용량(톤 기준)
  • 예) 숫자가 1489.3588이라면, 1489톤 사용

소수점 이하는 요금 산정에서 제외되니, 정수만 참고하면 됩니다.

 


별침 회전으로 누수 확인하는 법

수도계량기 보는방법 중 가장 유용한 팁!
바로 별침(별모양 바늘) 확인입니다.

  • 모든 수도꼭지를 잠갔는데도 별침이 돌면? → 누수 의심
  • 회전 속도 = 물 흐름의 양
  • 시계방향 1회전 = 0.0001톤 (0.1리터)

누수 의심될 땐 반드시 전문 업체에 점검을 요청해야 합니다.


수도 사용량 계산법 쉽게 설명

수도계량기 보는방법을 이해했다면, 사용량 계산도 간단합니다.

📌 예시

  • 전월 지침: 3.121㎥
  • 당월 지침: 23.112㎥
  • 사용량: 23 - 3 = 20㎥

💰 요금 계산법 (예: 850원/㎥)

  • 20㎥ × 850원 = 17,000원
    ※ 하수도요금, 부가세는 별도

공동 계량기와 세대별 계량기의 차이

예전 건물은 공동 계량기가 많습니다.
이 경우 전체 사용량을 나눠서 각 세대가 요금을 부담하게 됩니다.
하지만 현재는 대부분 세대별 계량기를 사용하여 개별 검침정확한 요금 부과가 가능합니다.


수도계량기 동파 예방 꿀팁

겨울철에는 수도계량기가 얼어 동파 피해를 입기 쉬운데요.
예방을 위한 꿀팁을 정리해 드립니다.

✔ 계량기함 내부 보온재 감싸기
✔ 에어캡, 헌 옷, 스티로폼 등으로 보온
✔ 한파 시엔 수도꼭지 아주 약하게 틀기

※ 수도계량기 보는방법만큼 사전 보온 조치도 중요합니다.


마무리 체크리스트

✅ 수도계량기 위치 파악했나요?
✅ 숫자와 별침 확인하셨나요?
✅ 물 사용량 정확히 계산해보셨나요?
✅ 누수 의심 시 별침 확인하셨나요?
✅ 동파 예방 조치 하셨나요?

수도계량기 보는방법을 제대로 알면
💧 수도요금 절감
💧 누수 사전 예방
💧 고장 조기 감지까지 가능해집니다.

지금 바로 우리 집 수도계량기를 확인해 보세요!

반응형